우리는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통해 화학물질의 이면을 보게 되었습니다.
생활 속에서 수 많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고,
또 그런 제품들을 만들기 위한 과정에서 노동자, 공장 인근 주민, 생태계 등은 늘 화학물질로부터 위험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이번 <1회 화학안전주간>은 시민들에게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알리고 안전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제도개선 측면은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시민사회단체(노동환경건강연구소,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여성환경연대, 일과건강, 환경정의, 환경운동연합)와 환경부가 함께 만든 상징적인 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는 관리자로서 역할을 다 하고 기업은 제조사로서 기업의 이윤 추구보다 더 앞서 안전을 최우선하여 화학물질 사용, 사고 예방, 대비체계 구축 등 늘 노력해 주기를 바랍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화학안전주간(11.4~5)에 유튜브, 페이스북에서 실시간 방송이 되니, 관심으로 함께 해 주세요
기념식 중간에 퀴즈이벤트가 진행됩니다. 함께 해 주세요 :)
우리는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통해 화학물질의 이면을 보게 되었습니다.
생활 속에서 수 많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고,
또 그런 제품들을 만들기 위한 과정에서 노동자, 공장 인근 주민, 생태계 등은 늘 화학물질로부터 위험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이번 <1회 화학안전주간>은 시민들에게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알리고 안전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제도개선 측면은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시민사회단체(노동환경건강연구소,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여성환경연대, 일과건강, 환경정의, 환경운동연합)와 환경부가 함께 만든 상징적인 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는 관리자로서 역할을 다 하고 기업은 제조사로서 기업의 이윤 추구보다 더 앞서 안전을 최우선하여 화학물질 사용, 사고 예방, 대비체계 구축 등 늘 노력해 주기를 바랍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화학안전주간(11.4~5)에 유튜브, 페이스북에서 실시간 방송이 되니, 관심으로 함께 해 주세요
기념식 중간에 퀴즈이벤트가 진행됩니다. 함께 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