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대응[제주 4.3 70주년] ③ 슬프고 아름다운 숲, 동백동산

불편한 기행,  제주 동백동산을 찾다

환경정의는 2018 동행 ‘불편한 기행’을 주제로 제주에 다녀왔습니다. 난개발, 제주해군기지, 4.3까지 국가폭력에 의해 피해를 입은 공동체와 파괴된 자연 생태계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이곳저곳을 탐방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기억하는 동백동산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동백동산은 제주도 동북부 지역 조천읍에 위치한 중산간 마을 선흘 1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영등할망이 몰고 온 안개 

동백동산에 도착한 날은 비도 내리고 안개도 자욱했습니다. 봄날이 왔다고 하기에는 추운 날씨였죠. 마침 우리가 동백동산을 갔던 날, 영등할망이 제주를 찾는 시기​여서 그렇다는 해설사님의 설명을 들었습니다.

영등할망’은 ‘음력 2월 1일 제주에 들어와 바다에 미역, 전복, 소라 등의 씨를 넣어주고 2월 15일 제주를 떠나는 여신인데요. 제주에서는 이 영등할망이 며느리와 들어오면 비바람이 몰아치고, 딸과 들어오면 비교적 잠잠하게 그 시기를 지날 수 있다는 설화가 전해져 내려온다고 합니다. 제주 지역도 고부갈등이 심했던 모양이죠? 어쨌거나, 올해에는 영등할망이 며느리와 온 것 같다고 해설사분께서 설명해주셨습니다.

영등할망이 몰고 온 안개가 자욱한 동백동산은 날씨 덕분에 더욱 신비롭고 경이로운 숲의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신비롭고 아름다운 제주의 곶자왈, 동백동산 

동백나무가 많아 이름도 동백동산이 되었다는 이 아름다운 동산은 크고 작은 용암 덩어리와 나무, 덩굴식물이 뒤섞인 숲인 곶자왈지대로, 난대상록활엽수의 천연림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아 지방기념물(제 10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람사르 습지로도 지정되어 있습니다.

곶과 자왈이 합쳐진 곶자왈은, 엉성한 돌무더기 지형에 나무와 덩굴 등으로 이루어진 숲을 의미합니다. 동백동산은 곶자왈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나무들은 뿌리를 깊게 내리지 못한 채 자라는데요, 그래서 바람이 많이 불면 큰 나무들도 휙 하고 넘어져 버리기도 한답니다. 한 나무는 뿌리가 드러나 넘어진 채로도 생명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강인한 생명력이 느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동백동산이라는 이름 때문에 동백꽃이 많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안타깝게도 성장이 느린 동백나무에 비해 다른 나무들의 키가 훨씬 크기 때문에 키가 작은 동백나무는 햇빛을 많이 받지 못해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동백동산에 동백꽃이 피어있는 모습은 아주 귀한 풍경이라고요.

 

동백동산이 품고 있는 제주 4.3의 기억  

동백동산을 걷다 보면 크고 작은 연못과 동굴을 자주 만날 수 있습니다. 동백동산의 동굴들은 4.3 당시 많은 선흘 주민들을 숨겨주었고 연못은 주민들에게 식수를 제공해주는 소중한 곳이었다고 합니다. 제주도는 워낙 물이 귀한 곳이기도 하거니와 그 당시 기약 없이 숨어지내야만 했던 제주민에게 동백동산의 숨을 곳과 마실 물은 정말 절실한 부분이었겠지요. 우리는 동백동산을 천천히 걷다가 ‘도틀굴’이라는 작은 동굴 앞에 도착했습니다.

도틀굴은 4.3 때 스무 명 정도의 주민들이 숨어있다가 발각되어 희생되고 말았던 학살터였다고 합니다. 선흘리 주민들은 동백동산이 지닌 4.3의 기억을 잊지 않고자 펜스를 설치하고 동백동산을 찾은 이들에게 이 가슴 아픈 사연을 직접 전하고 있었습니다. 단지 숲의 생태적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한참 걷다가 예상치 못하게 도틀굴을 만나니, 이 숲이 지닌 역사에 대해 새로이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 경이로운 안개 숲을 걷는 걸음도 더 이상 가볍지만은 않았습니다.

 

 

슬프고 아름다운 숲, 동백동산 

동백동산은 참 아름다운 숲입니다. 하지만 아름답기만 한 숲은 아니었습니다. 추운 겨울에 피어나 꽃 째로 떨어지는 그 모습이, 4.3이라는 아픈 역사 속에 스러져간 민중의 모습을 닮았다 하여, 4.3의 상징 꽃이 되었다는 동백처럼, 동백동산이라고 하는 제주의 아름다운 동산은 슬픈 역사이기도 했습니다.

국가라는 이름으로 저지른 만행에 대한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요? 기억하고 바로잡아야 할 역사를 알리고 전파하는 일은, 제주의 돌과 나무와 자연이 그러하였듯, 이 역사 속의 일원으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실천일 것입니다.

제주 4.3은 대한민국의 역사!!

· 기억투쟁 70년 제주 4.3 알리기 캠페인 https://goo.gl/UXY9ii

·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회 http://www.4370jeju.net/

· 제주 4·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7&v=hW-aeZ3VPJA

· 제주 4·3 애니메이션 송아지’ : https://www.youtube.com/watch?v=hwKKWBAs74U

 

 

사업자등록번호 208-82-04038

(03969)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 39 시민공간나루 2층         오시는 길 >>

전화 02-743-4747  |  손전화 010-2412-4747   |  

팩스 02-323-4748  |  이메일  eco@eco.or.kr   |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