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환경실태와 사회적 약자 환경권 보호를 위한 정책심포지엄
[프로그램]
◆ 일시 : 2006년 12월
◆ 좌장 : 한면희(녹색대학교, 환경정의연구소 소장)
◆ 발표(2:00~3:00)
발제 1. 한국의 도시 저소득층 환경피해와 환경부정의
– 임종한(인하대학교 산업의학과)
발제 2. 미국 동북부 환경정의 운동의 시사점과 한국적 함의
– 조명래(단국대학교 사회과학부)
◆ 지정토론(3:00~4:00 / 가나다순)
반영운(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오성규(환경정의 사무처장)
유 련(열린우리당 전문위원)
이정섭(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
임병준(시흥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홍인옥(한국도시연구소 책임연구원)
◆ 종합토론(4:00~5:00)
한국의 도시 저소득층의 환경피해와 환경부정의
임종한(인하의대 산업의학과, 다지사 공동위원장)
1. 서론 :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환경 노출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은 어린이 환경보건에 두 가지로 영향을 미친다. 첫 번째,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이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사회적인 변이 혹은 불평등은 환경부정의로 받아 노출에 여질 수 있다. 두 번째, 일정수준 이상의 유해한 환경노출이 주어진다면,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은 어린이의 민감성 특성에 영향을 주어 건강영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불평등은 평등하지 않은 노출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환경노출로 인한 평등하지 않은 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전은 그림 1에서 잘 기술되어있다.
물론, 보다 정확한 도표를 위해서는 성과 인종과 같은 추가의 관련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도표의 예는 O’Neil 등이 2003년에 제안한 대기오염 건강영향 틀에서 어떻게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노출과 민감성을 증가시키는지 하는 잠재적인 경로 모델과 Sexton과 Adgate(1999)에 의해 제안된 사회경제적인 변수와 환경보건 위해도의 사이를 설명하기위한 개념적인 모델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세요.
[프로그램]
◆ 일시 : 2006년 12월
◆ 좌장 : 한면희(녹색대학교, 환경정의연구소 소장)
◆ 발표(2:00~3:00)
발제 1. 한국의 도시 저소득층 환경피해와 환경부정의
– 임종한(인하대학교 산업의학과)
발제 2. 미국 동북부 환경정의 운동의 시사점과 한국적 함의
– 조명래(단국대학교 사회과학부)
◆ 지정토론(3:00~4:00 / 가나다순)
반영운(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오성규(환경정의 사무처장)
유 련(열린우리당 전문위원)
이정섭(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
임병준(시흥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홍인옥(한국도시연구소 책임연구원)
◆ 종합토론(4:00~5:00)
한국의 도시 저소득층의 환경피해와 환경부정의
임종한(인하의대 산업의학과, 다지사 공동위원장)
1. 서론 :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환경 노출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은 어린이 환경보건에 두 가지로 영향을 미친다. 첫 번째,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이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사회적인 변이 혹은 불평등은 환경부정의로 받아 노출에 여질 수 있다. 두 번째, 일정수준 이상의 유해한 환경노출이 주어진다면,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은 어린이의 민감성 특성에 영향을 주어 건강영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불평등은 평등하지 않은 노출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환경노출로 인한 평등하지 않은 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전은 그림 1에서 잘 기술되어있다.
물론, 보다 정확한 도표를 위해서는 성과 인종과 같은 추가의 관련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도표의 예는 O’Neil 등이 2003년에 제안한 대기오염 건강영향 틀에서 어떻게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노출과 민감성을 증가시키는지 하는 잠재적인 경로 모델과 Sexton과 Adgate(1999)에 의해 제안된 사회경제적인 변수와 환경보건 위해도의 사이를 설명하기위한 개념적인 모델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세요.